데스크톱 공유, 원격 로그인 차이

데스크톱 공유: 접속하는 계정의 화면을 미러링

원격 로그인도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, 3390 포트로 접속해야 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 

원격 로그인: 접속하는 계정으로 접속, 기존에 접속된 계정이 로그아웃 되고 새로 접속된다.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즉, 기존에 띄워 놓은 창들이 다 사라짐)

 

 

데스크톱 공유 시 아래 에러 발생 시 해결 방법

rdp-tls.crt 파일을 Windows에 복사해다가 실행하여 설치한 후 재부팅 후 접속

$ grdctl --system status --show-credentials
Init TPM credentials failed because Failed to initialize transmission interface context: tcti:IO failure, using GKeyFile as fallback.
Overall:
	Unit status: active
RDP:
	Status: enabled
	Port: 3389
	TLS certificate: /var/lib/gnome-remote-desktop/.local/share/gnome-remote-desktop/certificates/rdp-tls.crt
	TLS fingerprint: 04:2d:2b:1a:7c:8b:1a:21:68:73:3a:e7:2f:ca:c7:4f:58:20:bd:f5:7b:75:cd:a7:72:c2:5d:b3:a2:76:fc:f0
...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sktop-daemon[1101]: [14:40:25:349] [1101:00001ef3] [ERROR][com.winpr.sspi.NTLM] - [ntlm_read_AuthenticateMessage]: Message In>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sktop-daemon[1101]: [14:40:25:350] [1101:00001ef3] [WARN][com.winpr.sspi] - [winpr_AcceptSecurityContext]: AcceptSecurityCont>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sktop-daemon[1101]: [14:40:25:350] [1101:00001ef3] [ERROR][com.freerdp.core.auth] - [credssp_auth_authenticate]: AcceptSecuri>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sktop-daemon[1101]: [14:40:25:350] [1101:00001ef3] [ERROR][com.freerdp.core.transport] - [transport_accept_nla]: client authe>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sktop-daemon[1101]: [14:40:25:350] [1101:00001ef3] [ERROR][com.freerdp.core.peer] - [peer_recv_callback_internal]: CONNECTION>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sktop-daemon[1101]: [14:40:25:350] [1101:00001ef3] [ERROR][com.freerdp.core.transport] - [transport_check_fds]: transport_che>
 9월 12 14:40:25 ddakker-onl gnome-remote-de[1101]: [RDP] Network or intentional disconnect, stopping session
  1. Double Commander
  2. Sublime Text
  3.  Spectacle
    • 화면 캡쳐 : 윈도우 픽픽 같아 아주 좋음, 그놈 기본은 강조 표시 등 간단한 수정이 안되어 불편
    • Wayland, KDE이슈로 안되면 대안
      • Deepin
      • Flameshot (Fedora 41Wayland 이제 잘 되네, 2024.11.26)
        • 단축키 지정시 안되면 맨 아래 확인
  4. GIMP (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, 그누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)
    • 이미지 편집
  5. Shotcut
    • 동영상 편집
  6. Color Picker
    • 화면에서 RGB 색상 알아내기
  7. KRuler
    • 줄자
  8. Studtio 3T Linux
  9. Fleet
  10. DataGrip

 

## Flameshot 단축키 지정시 안되면
dbus-send --session --print-reply=literal --dest=org.freedesktop.impl.portal.PermissionStore /org/freedesktop/impl/portal/PermissionStore org.freedesktop.impl.portal.PermissionStore.SetPermission string:'screenshot' boolean:true string:'screenshot' string:'flameshot' array:string:'yes'

dbus-send --session --print-reply=literal --dest=org.freedesktop.impl.portal.PermissionStore /org/freedesktop/impl/portal/PermissionStore org.freedesktop.impl.portal.PermissionStore.Lookup string:'screenshot' string:'screenshot'

 

키맵(단축키) 옵션은 Windows 로 설정했음

GNOME 40

[Konsole 설치]
dnf install konsole
단축키 - 복사 -> Ctrl + Insert 추가

[단축키] - 설정 > 키보드 > 바로가기 사용자 설정
창
	창 옮기기 - Alt + F7 제거
    현재 활동 보이기 - Disable (idea와 충돌)
    창 전환 - Alt + Tab (프로그램 전환이 되어 있으면 동일 애플리케이션이 그룹핑됨)
      -> AATWS(advanced alt tab window switcher) 함께 사용 - 듀얼 모니터
    
조종
	모든 일반 창 감추가 - Super + D
    창 전환 - Alt-Tab (안 하면 동일 프로그램 합쳐진 기능으로 됨)
    오른쪽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 - Ctrl + Super + -> (idea 와 충돌)
    왼쪽 작업 공간으로 옮기기 - Ctrl + Super + -< (idea 와 충돌)

에플리케이션 메뉴 열기 - Alt + F1
	## 본인 계정에서 실행
	gsettings set org.gnome.shell.extensions.apps-menu apps-menu-toggle-menu "[]"

설정 -> 다중작업 -> 구석 누르기(Hot Corner) -> OFF

 ## 명령어 실행 - IBus 기본설정
 $ ibus-setup
  에모지 -> 바로 가기 키
  	에모지 주석 - Ctrl + Shift + e 제거
    유니코드 코드 값 - Ctrl + Shift + u 제거 (idea 대소문자 변경 충돌)

 

Cinnamon

[키보드 단축키 설정]
Alt + F1
	설정 -> 키보드 -> 일반 -> 작업 공간 선택 화면 보기
    재부팅 후 원복 된다면...
    ~/.config/plasma-org.kde.plasma.desktop-appletsrc
    	Alt + F1 부분 주석
Ctrl + Alt + <-
	설정 -> 키보드 -> 작업 공간 -> 왼쪽 작업 공간으로 이동 
Ctrl + Alt + ->
	설정 -> 키보드 -> 작업 공간 -> 오른쪽 작업 공간으로 이동 
Ctrl + Alt + T
	설정 -> 키보드 -> 런처 -> 터미널 실행
    
[창]
Alt + Mouse Drag
	설정 -> 창 -> 동작 -> 창을 이동할 때 사용할 특수 키
Alt + F7
	설정 -> 창 -> 위치 -> 창 이동
    
[한글 설정(IBUS)]
Ctrl + Shift + U
	Emoji -> Unicode code point
    
[터미널]
Copy, Past 단축키 변경
	기본 Ctl + Shift C, V 라서 일반적은 Ctl + Insert, Shift + Insert 로 변경

    

KDE Plasma

1. 터미널 konsole 복사/붙여넣기
	konsole - 키보드 단축키 설정
	복사 - 대체키에 Ctrl + Ins
    
2. 터미널 열기 - konsole
	Ctrl + Alt + t
	단축키 - 전역 단축키 - 시스템 설정 - Launch Konsole
    
3. 잠금
	Ctrl + Alt + l
	단축키 - 전역 단축키 - ksmserver - 세션 잠금
    
4. 메뉴 열기
	Alt + F1
	단축키 - 전역 단축키 - Plasma - 프로그램 위젯 활성화하기    
    Plasma 6: 단축키 -> plasmashell -> Activate Application Launcher
    
5. Alt + Mouse Drag
	창관리 - 창 동작 - 창 내부,제목 표시줄 및 프레임 동작 - 수정자 키(D): Alt - 왼쪽 클릭(E):
    	아무것도 하지 않음
        
6. Ctrl + F9
	단축키 - 전역 단축키 - KWin - 보이는 창 바꾸기(현재 데스크톱)

KDE Plasma 6 한글 전환 이슈

오른쪽 Alt 키 누르면 프로그램 파일 메뉴 열리는 이슈

시스템 설정 -> 키보드 -> 오른쪽 위  Key Bindings -> Configure keyboard options -> 한국어 한/영,한자 키 -> 오른쪽 Alt 키를 한/영 키로 만들기 체크

VirtualBox 5.0.30

Fedora 23/24/25 모두 해봄 (VirtualBox 4 버전에서 Fedora 25 버전은 잘 안되서 VirtualBox 5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함)


yum update    
yum install kernel-devel-$(uname -r)
yum install gcc make

shutdown -r now

cd /var/run/media/root/VBOXADDITIONS_4.3.40_110317/
./VBoxLinuxAdditions.run 

shutdown -r now



#!/bin/sh SRC_FILE=/home/ci/sample/tomcat/domains/monitor_agent/sample-agent.jar # Tomcat WAS_ARR=( "tomcat@was01;user,admin" "tomcat@was02;user,admin" ) for WAS_INFO in "${WAS_ARR[@]}" do var=$(echo $WAS_INFO | awk -F";" '{print $1,$2}') set -- $var WAS=$1 DOMAIN_ARR_STR=$2 DOMAIN_ARR=$(echo $DOMAIN_ARR_STR | tr "," "\n") echo "ssh -q $WAS rm -Rf /usr/local/tomcat/domains/monitor_agent/sample-agent.jar" ssh -q $WAS rm -Rf /usr/local/tomcat/domains/monitor_agent/sample-agent.jar echo "scp -q -r $SRC_FILE $WAS:/usr/local/tomcat/domains/monitor_agent/." scp -q -r $SRC_FILE $WAS:/usr/local/tomcat/domains/monitor_agent/. for DOMAIN in $DOMAIN_ARR do echo "ssh -q $WAS cd '/usr/local/tomcat/domains/'$DOMAIN';' ./deploy.sh restart wait update 3" ssh -q $WAS cd '/usr/local/tomcat/domains/'$DOMAIN';' ./deploy.sh restart wait update 3 done done


VMWare 기반 Mint 해상도 설정 리스트에 존재 하지 않는 사이즈로 변경하기



$ cvt 1920 1080 엔터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# 1920x1080 59.96 Hz (CVT 2.07M9) hsync: 67.16 kHz; pclk: 173.00 MHz
Modeline "1920x1080_60.00"  173.00  1920 2048 2248 2576  1080 1083 1088 1120 -hsync +vsync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위에 나온 정보 입력
$ xrandr --newmode "1920x1080_60.00"  173.00  1920 2048 2248 2576  1080 1083 1088 1120 -hsync +vsync
$ xrandr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Screen 0: minimum 1 x 1, current 800 x 600, maximum 8192 x 8192
Virtual1 connected 800x600+0+0 (normal left inverted right x axis y axis) 0mm x 0mm
   800x600        60.0*+   60.3 
생략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$ xrandr --addmode Virtual1 "1920x1080_60.00"

# Virtuals1 부분은 xrandr 명령어 처보면 확인 가능 VGA, DVI, HDMI 등??
사용중인 포트의 프로세스 찾기
fuser -n tcp [port]

프로세스 강제 종료
kill -9 [pid] 
wget -c http://lug.mtu.edu/ubuntu/pool/main/g/gcc-3.3/libstdc++5_3.3.6-10_i386.deb
dpkg -x libstdc++5_3.3.6-10_i386.deb libstdc++5
cp libstdc++5/usr/lib/libstdc++.so.5.0.7 /usr/lib 
ln -s libstdc++.so.5.0.7 libstdc++.so.5

chown: 파일의 소유자 바꾸기  ( -Rf 하위 디렉토리까지 )

ex) chown -Rf 유저 디렉토리(파일)명

chgrp: 파일의 그룹 바꾸기

chmod 777 파일명


[유저 생성]

adduser 아이디
deluser --remove-all-files 아이디


[File Source Search]

find . -name "*" -exec grep "07-060" / {} \;
grep -rn "07-060" *


파일찾기

find / -name 파일명 -type f

 
디렉토리 찾기

find / -name 파일명 -type d

 
하위 디렉터리에서 모든 파일 찾기

find . | xargs grep '파일명'

[파일 리스트 뽑아내기] 
ls -alRF

[사용자 추가/삭제]

useradd 아이디

passwd 아이디


userdel -r 아이디  ( -r home폴더 내용까지 삭제 )


[시스템 문자셋 변경]

/etc/sysconfig/i18n



[부팅시 자동 수행]

부팅시 자동으로 수행되기 위한 설정은
/etc/rc.d/rc.local 파일의 맨 마지막 줄에 명령을 추가해준다.


/etc/rc.local
source /etc/rc.d/rc.local 부팅 하지 않고 재 설정 적용 가능

[서비스 등록]
0 : halt (종료 모드) 
1 : single user mode (단일 사용자 모드, 시스템 복구시 사용한다.) 
2 : multiuser, without NFS (The same as 3,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) 
3 : full multiuser mode (다중사용자 모드 text login) 
4 : unused 
5 : X11 (다중사용자 모드 X window mode login) 
6 : reboot (재부팅)
chkconfig --level 35 서비스명 on[off]


[방화벽 포트 활성화]
/etc/sysconfig/iptables
service iptables restart


[환경 변수 등록]

/etc/profile.d/ 밑에 .sh 확장자로 하나 만들어서 환경변수를 export CATALINA_HOME=/usr/tomcat 와 같이 등록한다.


[열려진 포트확인]

netstat -nltp


[링크 Link]

심볼릭 링크(symbolic link) -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과 비슷
ln -s
 test.txt hello.txt

하드 링크(hard link) - 해당 파일을 복사본을 만듬.. 한곳을 수정해도 동기화 됨
ln
 test.txt hello.txt


[우분투 방화벽 설정]

방화벽 사용 = ufw enable
방화벽 전체 해제 = ufw disable
룰 전체 닫기 = ufw default deny
룰 전체 열기 = ufw default allow
포트 열기 = ufw allow 포트
포트 닫기 = ufw deny 포트
삭제       = ufw delete allow(deny) 포트
상태       = ufw status


[우분투 dkpg]
인스톨
dpkg -i

언인스톨
dpkg -P(--purge)
설치목록
dpkg -l
아카이브 정보
dpkg --info


[Centos 방화벽]

6

/etc/init.d/iptables stop

7

systemctl stop firewalld

리부팅시 방화벽 실행 하지 않기

systemctl disable firewalld


selinux 비활성

setenforce 0

selinux  활성

setenforce 1

/etc/selinux/config


[Apache2, Tomcat 설정 및 시작]
export CATALINA_HOME=/usr/apache-tomcat-5.5.28
export JAVA_HOME=/usr/jdk1.6.0_17
export JRE_HOME=/usr/jdk1.6.0_17

# Apache2 Start
/usr/sbin/apache2ctl start
ex) apache2: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's fully qualified domain name, using 0.0.0.0 for ServerName
    
비스무리하게 나온다면 vi /etc/apache2/apache2.conf 마지막쯤에 ServerName localhost 추가 하자

# Tomcat Start
/usr/apache-tomcat-5.5.28/bin/./startup.sh

[proftpd]

접속 지연현상 발생 시 

/etc/proftpd/proftpd.conf
UseReverseDNS off
IdentLookups off
ServerIdent on "FTP Server ready."

IdentLookups 항목은 존재함

ftp데몬을 재기동 하면 된다.

/etc/init.d/proftpd restart

[호스트]
#CentOS 6
vi /etc/sysconfig/network
HOSTNAME=myhost 

#CentOS 7 
hostnamectl set-hostname myhost

[버전 확인]
cat /etc/*-release
[비트 확인]
getconf LONG_BIT
uname -m

[RPM 확인]
rpm -ql httpd

[JDK 등록]
링크, 이름, 실제 경로,  우선순위
alternatives --install /usr/bin/java java /usr/java/latest/bin/java 1000
alternatives --config java

alternatives --remove java /usr/java/latest/bin/java


GRUB 부트로더 수정
/etc/grub.conf 파일

Default = 0  --> 순서대로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