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- Radhat Enterprise ES 인코딩 설정파일 2006.11.14
- 로그인후 이전페이지로 넘어가기. 2006.11.01
- VARCHAR2 컬럼을 CLOB로 바꾸는 방법... 2006.09.18
- 테이블에맞게 Text 자르기 / 테이블 고정 2006.09.06
- [js] 함수 모음 2006.09.05
- 오라클 9i 명령어들 2006.08.23
- linux/unix명령어 모음 2006.08.18
- 블럭 못씌우게 하기 2006.08.18
- [oracle] 계정 생성 및 권한 주기 2006.08.12
- 프로퍼티 모음 2006.07.13
Radhat Enterprise ES 인코딩 설정파일
로그인후 이전페이지로 넘어가기.
보통 로그인 처리 할때.. 이전페이지를 파라메터로 받아서 로그인후 이동시킵니다. 그러나 파라메터를 받지 않고 이전페이지로 이동시키는 Tip 입니다.
<% String referer = request.getHeader("referer"); |
VARCHAR2 컬럼을 CLOB로 바꾸는 방법...
ORACLE VARCHAR2 --> CLOB 로 바꾸는 방법....
-- 옮기기위한 테이블과 옮길 테이블 그리고 중간 단계를 거칠 테이블을 생성한다.
테이블 정보
TEST_TBL : ( 옮기기 위한 테이블) 원본
USERID VARCHAR2(20) ,
CONTENT VARCHAR2(40000)
TEST_TBL_LONG : (CLOB로 바꾸기 위하여 중간에 거치는 테이블)
USERID VARCHAR(20),
CONTENT LONG
TEST_TML_CLOB : (마지막으로 바꿀 테이블)
USERID VARCHAR(20),
CONTENT CLOB
예를 들어 위와 같은 테이블을 만들어 테스트를 해볼수 있다.
일반 VARCHAR2 에서 CLOB로 바로 옮길수는 없다. LONG 형에서 CLOB로 옮길수는 있다.
바로TO_LOB를 쓰면 LONG 에서 CLOB로 바꿀수 있다.
단 , 여기서 바꾸거나, 바뀌는 모든 테이블이 모두 같은 수의 컬럼과 순서를 가지고 있다.
1. 바꾸고 싶은 원본 테이블을 LONG 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.
INSERT INTO TEST_TBL_LONG
SELECT USERID , CONTENT FROM TEST_TBL
2. LONG으로 바꾼 테이블을 CLOB로 바꾼다. 이때 TO_LOB를 사용한다.
INSERT INTO TEST_TBL_LONG
SELECT USERID ,TO_LOB(CONTENT) FROM TEST_TBL_LONG
이렇게 하면 비교적 손쉽게 VARCHAR2 를 CLOB로 바꿀수 있다.
테이블에맞게 Text 자르기 / 테이블 고정
<div style="width:200; text-overflow:clip; overflow:hidden;">
<nobr>제목이 긴 문자열로 이루어진 글을 테이블의 폭에 알맞게 잘라줍니다.</nobr>
</div>
<div style="width:200; text-overflow:ellipsis; overflow:hidden;">
<nobr>제목이 긴 문자열로 이루어진 글을 테이블의 폭에 알맞게 잘라줍니다.</nobr>
</div>
<div style="width:200; text-overflow:ellipsis; overflow:visible;">
<nobr>제목이 긴 문자열로 이루어진 글을 테이블의 폭에 알맞게 잘라줍니다.</nobr>
</div>
테이블 고정
DB에서 결과 뿌려줄때 테이블 width 크기에 딱 맞게 고정
td 에 style="word-break:break-all"
[js] 함수 모음
boolean isNaN(value) - 숫자인지 체크하는 함수
encodeURLComponent("한글") - 한글 URL UTF-8 인코딩
encodeURI - 특수문자 변형
jsp에서 받을시 request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
screen.width - 해상도 구하기
document.body.clientWidth - body 크기 구하기
document.body.scrollLeft - 스크롤바 위치 값
var dd = document.documentElement; // 최신 버전
var db = document.body; // 구버전
var scrollLeft = 0, scrollTop = 0;
if(dd){
scrollLeft += dd.scrollLeft;
scrollTop += dd.scrollTop;
} else if(db){
scrollLeft += dd.scrollLeft;
scrollTop += dd.scrollTop;
}
[IFrame Resize]
var Frame_Body = document.all(name).document.body;
var Frame_name = document.all(name);
Frame_name.style.height = Frame_Body.scrollHeight + (Frame_Body.offsetHeight-Frame_Body.clientHeight);
::scroll bar- 가로/세로 없애기(보이기
아래 스타일을 적용합니다.
<body style="width:100%;overflow-x:hidden;overflow-y:scroll">
overflow-x=x축 스크롤바
overflow-y= y축 스크롤바
hidden( 감추기) scroll(보이기 )
:: 모두 안보이게 간단히 하려면..
<body scroll="no">
window.open(url","win_name","toolbar=no,resizable=yes,scrollbars=yes,location=no,resize=no,menubar=no,directories=no,copyhistory=0,width=470,height=250,top= 330,left = 370");
var ret = window.showModalDialog('[파일명]', '[윈도우명]','dialogWidth:[WIDTH]px;dialogHeight:[HEIGHT]px;dialogTop:[TOP]px;dialogLeft:LEFTpx;scroll:[스크롤사용여부];center:[중앙위치여부];help:[도움말연결여부];resizable:[사이즈조정여부];status:[상태바여부];');
alert(ret); // ret 는 모달 윈도우에서 받은 결과 값이다.
[input text 박스에서 영문만 가능하도록.]
style="ime-mode:disabled"
[input text 박스 숫자만]
function numIntegrity(th,code)
{
if ( (code < 48) || (code > 58) )
{
event.returnValue = false;
th.focus();
}
}
페이지 사이즈 자동 재 조정(Page Resize)]
self.resizeTo(document.body.scrollWidth,document.body.scrollHeight);
replaceAll
m_ment.split("<").join("<");
오라클 9i 명령어들
사용자 암호변경 : ALTER USER scott IDENTIFIED BY lion;
[백업/복구]
* 사용자 모드
백업
exp userid=system/암호owner=DEP_DB file='C:\scottuser.dmp'
복구
imp userid=system/암호 file='C:\scott.dmp' fromuser=백업시 사용자 touser=복구시 사용자
linux/unix명령어 모음
chown: 파일의 소유자 바꾸기 ( -Rf 하위 디렉토리까지 )
ex) chown -Rf 유저 디렉토리(파일)명
chgrp: 파일의 그룹 바꾸기
chmod 777 파일명
[유저 생성]
adduser 아이디
deluser --remove-all-files 아이디
[File Source Search]
find . -name "*" -exec grep "07-060" / {} \;
grep -rn "07-060" *
파일찾기
find / -name 파일명 -type f
find / -name 파일명 -type d
find . | xargs grep '파일명'
ls -alRF
[사용자 추가/삭제]
useradd 아이디
passwd 아이디
userdel -r 아이디 ( -r home폴더 내용까지 삭제 )
[시스템 문자셋 변경]
/etc/sysconfig/i18n
[부팅시 자동 수행]
부팅시 자동으로 수행되기 위한 설정은
/etc/rc.d/rc.local 파일의 맨 마지막 줄에 명령을 추가해준다.
/etc/rc.local
source /etc/rc.d/rc.local 부팅 하지 않고 재 설정 적용 가능
[서비스 등록]
0 : halt (종료 모드)
1 : single user mode (단일 사용자 모드, 시스템 복구시 사용한다.)
2 : multiuser, without NFS (The same as 3, if you do not have networking)
3 : full multiuser mode (다중사용자 모드 text login)
4 : unused
5 : X11 (다중사용자 모드 X window mode login)
6 : reboot (재부팅)
chkconfig --level 35 서비스명 on[off]
[방화벽 포트 활성화]
/etc/sysconfig/iptables
service iptables restart
[환경 변수 등록]
/etc/profile.d/ 밑에 .sh 확장자로 하나 만들어서 환경변수를 export CATALINA_HOME=/usr/tomcat 와 같이 등록한다.
[열려진 포트확인]
netstat -nltp
[링크 Link]
심볼릭 링크(symbolic link) - 윈도우의 단축 아이콘과 비슷
ln -s test.txt hello.txt
하드 링크(hard link) - 해당 파일을 복사본을 만듬.. 한곳을 수정해도 동기화 됨
ln test.txt hello.txt
[우분투 방화벽 설정]
방화벽 사용 = ufw enable
방화벽 전체 해제 = ufw disable
룰 전체 닫기 = ufw default deny
룰 전체 열기 = ufw default allow
포트 열기 = ufw allow 포트
포트 닫기 = ufw deny 포트
삭제 = ufw delete allow(deny) 포트
상태 = ufw status
[우분투 dkpg]
인스톨
dpkg -i
언인스톨
dpkg -P(--purge)
설치목록
dpkg -l
아카이브 정보
dpkg --info
[Centos 방화벽]
6
/etc/init.d/iptables stop
7
systemctl stop firewalld
리부팅시 방화벽 실행 하지 않기
systemctl disable firewalld
selinux 비활성
setenforce 0
selinux 활성
setenforce 1
/etc/selinux/config
[Apache2, Tomcat 설정 및 시작]
export CATALINA_HOME=/usr/apache-tomcat-5.5.28
export JAVA_HOME=/usr/jdk1.6.0_17
export JRE_HOME=/usr/jdk1.6.0_17
# Apache2 Start
/usr/sbin/apache2ctl start
ex) apache2: Could not reliably determine the server's fully qualified domain name, using 0.0.0.0 for ServerName
비스무리하게 나온다면 vi /etc/apache2/apache2.conf 마지막쯤에 ServerName localhost 추가 하자
/usr/apache-tomcat-5.5.28/bin/./startup.sh
/etc/proftpd/proftpd.conf
ftp데몬을 재기동 하면 된다.
/etc/init.d/proftpd restart
alternatives --remove java /usr/java/latest/bin/java
블럭 못씌우게 하기
[oracle] 계정 생성 및 권한 주기
Create User ID Identified by PWD
default tablespace users
temporary tablespace temp
quota unlimited on users
quota unlimited on temp;
*/
grant connect, resource to ID
프로퍼티 모음
style="cursor:pointer" - 손 모양 포인터
default - 화실표
var tr = document.getElementById('tr_tracbackURL');
tr.style.display = "block"; // 보이기 block(세로), inline(가로)
tr.style.display = "none"; // 감추기
style.visibility = "visible"; // 보이기
style.visibility = "hidden"; // 감추기